동대문 ‘패션왕’ 은 없다

2012-05-25 11:33

상상력과 패기로 똘똘 뭉친 무명 디자이너들이 성공 스토리를 꿈꾸던 곳, 그곳은 지금…

 

 

유아인 신세경 이제훈 그리고 소녀시대 유리. 이들 톱스타가 열연했던 TV 드라마 ‘패션왕’이 최근 종영됐다.

허름한 의류공장에서 시작해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비상하는 젊은이들의 성공 스토리를 담은 이 드라마는 동대문 안팎의 많은 볼거리를 보여줘 인기를 끌었다. 

아침에 옷을 주문하면 저녁까지 뚝딱 만들어져 불티나게 팔려나가는, 그래서 ‘패스트 패션’의 메카요 한국 패션산업의 요람으로 불렸던 곳. 

상상력과 패기로 똘똘 뭉친 무명의 젊은 디자이너들이 ‘패션왕’을 꿈꾸며 성공 스토리를 만들어 왔던 곳, 동대문. 그러나 이제 이곳에서는 더 이상 패션왕이 나올 수 없다고 한다.

동대문 성공 스토리는 이제 TV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는, 불가능한 일로 여겨지고 있다. 수많은 패션왕을 만들어내며

대한민국 패션산업을 이끌어 왔던 동대문. 왜 이곳이 이렇게 몰락했을까. 이제 이곳에선 더 이상 동대문의 르네상스, 패션왕의 신화를 볼 수 없는 것인가. 


<사진=김명섭 기자>
/msiron@heraldm.com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공짜로 양파를 얻어서 어떻게 처리할까 고민하다가 불고기를 해먹기로 했다.

마트에가서 버섯이랑 고기랑사고....

최근들어 급격하게 늘어진 다크써클을 위해 브로콜리도 사고....

 

사진 세장으로 완성한 브로콜리 & 돼지 불고기 요리 시작!!

 

 

고기는 양념에 양파랑 사과랑 썰어서 잘 재어두고

.....

 

....

브로콜리는 흐르는 물에 씼어서 먹기좋게 잘라서 소금물에 테치고

....

 

......

버섯은 바로 요리할수 있게 다듬어 놓고

.......

 

..........

 

 

완성!!!

 

 

만들고 나서 보니까 고기만 잔뜩있네.ㅋㅋㅋ

그래도 맛있게 냠냠!!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술마시는 남자

A shot a day 2012. 4. 15. 00:36

난 술을 마신다.

 

한동안 와인을 마셨다.

 

종류도 다양하고 맛과 향도 다양한 와인.

다양한 음식과 함께 먹을수 있는 점이 맘에 든다.

매일 매일 한두잔씩 홀짝홀짝.....일주일에 한두병씩.....

대부분 1-3만원대 와인들이지만 한달에 술값이....ㅠㅜ

 

요즘은 럼, 위스키, 꼬냑.....

안가리고 다 마신다.

다양성을 추구하는건 아주 중요하니까.ㅋ

 

선반과 냉장고 위에서 내가 먹어주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술들......

기다려라. 내가 다 마셔주마.ㅋㅋㅋ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Cosmetics companies also benefit from subscriptions because they get a new way of reaching customers.’
Apr 13,2012

Memebox CEO Ha Hyung-seok shows samples of the many branded cosmetics his company sends customers for a monthly subscription fee. Provided by the company

While online retailers are frustrated with a revised cosmetics law that completely banned their sale of cosmetic samples from Feb. 5., there’s a 29-year old businessman who earns 200 million won ($175,453) a month by selling cosmetics samples to consumers on monthly subscription service.

Ha Hyung-seok, a fashion marketing graduate of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started cosmetics subscription commerce in Korea by launching Memebox last December.

Since then, Memebox has attracted over 10,000 subscribers.

“Just like newspapers, which deliver the essence of information to readers, I saw potential in a subscription system that delivers the best products picked by experts,” Ha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JoongAng Ilbo last Friday.

Memebox sends customers a box of cosmetics samples from 10 premium brands such as Vichy, Guerlain, and L’occitane for a 16,500 won monthly subscription fee.

Ha gets cosmetics samples free of charge from cosmetic companies, but he says they benefit from the business model too.

“Free cosmetic samples were normally given away at department stores or mailed with magazine subscriptions,” Ha said. “Given that many women prefer to test products before buying them, cosmetics firms also benefit from subscription commerce because they get a new way of reaching customers.”

A revised cosmetic law prohibits the sale of samples but Memebox said its business is legal because it doesn’t charge customers by the piece but rather by a monthly subscription.

Before starting Memebox, Ha worked at social commerce company Ticket Monster’s fashion beauty division in Korea and as an intern for high-end men’s fashion brand Tom Ford in New York, coordinating the brand’s official model, Brad Pitt.

Ha got the idea of Memebox from a friend who runs a similar business in Hong Kong.

Subscription commerce for samples was pioneered by U.S. company Birchbox, which has been delivering a box of cosmetics samples per $10 monthly subscription since 2010.

“We try to put items worth 100,000 won in a box,” Ha said. “From the consumers’ standpoint, they pay less than 20 percent of the market price.”

Ha started Memebox with 35 million won in investment from himself and four partners. It wasn’t an easy start, he says.

Ha made cold calls to set up meetings with marketing people at cosmetics companies. Ha’s four partners prepared the boxes of samples and marketing was done through social networking services.

“We earned a profit from the first month because we minimized expenses,” Ha said. “We were ignored by cosmetics companies when we first approached them, but now they come to us .”

Memebox’s next goal is to sell products for babies, men and soldiers.

“Some organic produce growers contacted us because they’re interested in using our business model,” Ha said.

Currently, all subscribers at Memebox get a box with the same cosmetic items per month, but the company is currently in discussions with cosmetics firms about providing samples tailored to each customer’s skin type.

“We will continue providing valuable information and products to customers to achieve sustainable growth,” he said.


By Lee Soo-ki, Kim Mi-ju [mijukim@joongang.co.kr]

 

한글 관련 기사

공짜로 받은 화장품 팔아 월 2억 버는 20대男


월 1만6500원 회비 내면 고가 화장품 보내주는 ‘미미박스’ 하형석 대표


고가의 화장품들을 공짜로 구한 뒤 이를 소비자들에게 팔아 월 2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는 이가 있다. 화장품 전문 서브스크립션커머스 업체인 미미박스의 하형석(29) 대표다. 서브스크립션커머스는 일정액의 월 회비를 내면 업체가 알아서 상품을 골라 정기적으로 보내 주는 새로운 거래방식이다.

 지난해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미미박스는 만 3개월여 만에 1만여 명의 유료 회원을 확보했다. 하 대표는 “알짜 정보를 엄선해 전해 주는 신문처럼 전문가들이 까다로운 안목으로 제품을 골라 전해 주는 서브스크립션커머스 사업모델도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하 대표는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미국의 유명 디자인학교인 파슨스스쿨을 나왔다. 사회생활은 남성용 명품 브랜드 톰포드에서 시작했다. 미국 뉴욕의 톰포드 매장에 무작정 찾아가 “인턴으로 취직시켜 달라”고 졸라댄 결과였다. 톰포드에서는 전속 모델이던 영화배우 브래드 피트의 코디로 활동하다가 귀국 후 소셜커머스업체인 티켓몬스터에서 근무했다.

 ‘공짜로 물건을 받아다 판다’는 아이디어는 홍콩에서 비슷한 사업을 하는 친구로부터 얻었다. 화장품은 록시탕·겔랑·비쉬 같은 유명 회사 10여 곳에서 무상으로 받고 있다. 화장품 회사와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화장품 업체들은 지난 2월부터 공짜 견본(샘플)을 일절 소비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법이 이를 막았다. 그러나 화장품 회사들이 소비자가 아닌 서브스크립션커머스 업체에 제품을 무료로 넘기고, 서브스크립션커머스 회사가 이를 다시 소비자에게 유료로 전달하는 것은 가능하다. 화장품 업체 입장에서 볼 때 중간에 미미박스를 끼면 샘플을 무료 제공하는 것과 똑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화장품 회사들은 미미박스를 활용하게 됐다.

 공짜로 얻은 화장품을 판매하지만 미미박스는 매월 회원들에게 회비(1만6500원)를 받는다. 그는 “회원에게 보내는 박스 한 개당 10만원어치 정도를 담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시가의 20%가 채 안 되는 월 회비로 구매하는 셈”이라고 말했다.

 동업자 4명과 자본금 3500만원으로 시작한 창업 초기엔 어려움이 많았다. 화장품 회사 대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무작정 마케팅 담당자를 만나게 해 달라고 했다. 포장도 동업자 네 명이 직접 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입소문 마케팅을 무기로 판촉비용을 최소화했다. 하 대표는 “ 비용을 줄인 덕에 영업 첫 달부터 이익을 냈다”며 “초기엔 화장품 회사로부터 문전 박대도 많이 당했지만 최근에는 되레 유명 브랜드 쪽에서 먼저 화장품을 대주겠다는 제안이 들어온다”고 했다.

 다음 목표는 서비스 폭을 넓히는 것. 화장품에 아기용·남성용·군인용 등의 서비스를 더할 계획이다. 하 대표는 “유기 농산물 업체 등에서도 우리 같은 비즈니스모델을 활용하고 싶다며 연락이 온다”며 “소비자들에게 가치 있는 정보와 제품을 제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일궈 낼 것”이라고 말했다.

서브스크립션 커머스(Subscription Commerce)

월간지를 정기구독하면 매달 잡지가 배달돼 오는 것처럼 회비를 내면 화장품 등을 배달해주는 판매기법. 2010년 미국에서 시작된 버치박스(BirchBox)가 대표 업체다.[중앙일보]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입력: 2012-03-29 17:23 / 수정: 2012-03-30 03:26
9월께 포털 구축
농업인과 소비자가 농산물을 직접 거래할 수 있는 종합 온라인 사이트가 만들어진다. 2학기부터는 교육비 절감을 위해 ‘e교과서’가 웹 기반으로 제공된다.

정부는 29일 정부 중앙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장관회의에서 소비자들의 생활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이 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운영 중인 온라인 쇼핑몰 ‘싱싱장터’를 보완해 오는 9월 종합 농산물 온라인 포털로 구축하기로 했다. 이 포털 사이트는 소비자들이 접근하기 쉽도록 우체국 쇼핑, 농협 e쇼핑, 사이버거래소 등과도 연계된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박재완 재정부 장관은 “국내 농산물의 유통단계 축소와 가격안정을 위해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직거래가 늘어나야 한다”고 설명했다.

교과서 가격 안정 방안도 나온다. 교과서에 대한 적정 가격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했다. 또 2학기부터 e교과서 보급방식을 CD 형태에서 웹기반 형식으로 전환한다. 교과서 대여제나 물려주기 등을 통해 교과서 소비문화도 바꿔나가기로 했다.

음식값을 동결하는 등 물가안정에 기여한 ‘착한 가게’에 주는 인센티브는 확대된다. 박 장관은 “착한 가게의 확대와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공공요금 조세 금융 등에서 인센티브를 늘리겠다”며 “(물가관리를 잘한 지방자치단체는) 각 부처에 통보해 지자체 공모사업 선정시 우대하겠다”고 말했다.

서보미 기자 bmseo@hankyung.com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BAM 패밀리펀드

1. 작성운용기간 : 2012.1.30 - 2012.3.30

2. 수익률

총자산 대비 수익률 : 1.72% (확정수익 :6.10%)

BM 수익률 : 4.46% (BM 지수 상승률)

* 확정수익 : 매수금액 대비 매도시 확정수익률을 의미함.

3. 보유자산 상위 5종목 비중

주식 : 62.5%     현금 : 36.25%     파생상품 :1.13%     기타 : 0.12%

KODEX 레버리지    26.6%

현대모비스            25%

두산                    15.8%

셀트리온                9.5%

기아차                   4.7%

 

4. Comment

1분기 운용방향은 펀드설정 초기 매집과 현물출자한 주식의 정리로 정함.

펀드수익률은 총 자산대비 수익률로 초기 현금의 비중이 높아 실제 매매수익률과는 차이를 보임.

실제 매매 수익률은 6%대로 BM대비 초과수익을 실현.

2분기는 포트폴리오내 파생상품 편입 비중을 확대할 계획임.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LGD·삼성重·하이닉스·NHN 묶어놨더니…
`하이Q트리플에이스` 코스피보다 1.39%P 높아
기사입력 2012.03.28 17:55:32 | 최종수정 2012.03.29 10:25:26


 

요즘 금융투자업계 최대 화두는 `삼성전자를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다. 삼성전자 주가가 올해 들어 코스피의 2배 넘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상당수 펀드매니저들이 삼성전자는 물론 삼성전자에 투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종목까지 찾아 베팅하고 있다.

서민기 코스모자산운용 전무는 "정보기술(IT)주 가운데 투자할 만한 것이 반도체나 휴대폰 정도밖에 없고, 따라서 삼성전자를 외면하기 어려웠다"며 "소형ㆍ중형주가 3월 들어 조정을 받은 까닭에 대형주 플레이를 할 수밖에 없는 점 또한 삼성전자를 사는 데 한몫했다"고 말했다.

이런 시장 분위기 속에서 삼성전자 덕을 보지 않고도 시장을 뛰어넘는 성과를 올린 펀드가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

하이자산운용이 작년 말 출시한 `하이Q트리플에이스`다. 이 펀드는 삼성전자를 한 주도 편입하지 않고 지난 26일 기준 코스피를 1.39%포인트 앞서고 있다.

그 비결은 자체 개발한 퀀트(금융공학) 모형을 활용한 종목 선택에 있다. 이 상품은 펀더멘털, 기술적 분석, 기관수급 등 변수를 입력해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은 20~30개 종목을 뽑아 동일 비중으로 투자한다.

코스피200에 들어가 있는 종목 가운데 시가총액 상위 100개 후보군을 놓고 투자선택을 하는데, 삼성전자는 한 번도 투자범위 안에 들어간 적이 없다.

1월 말과 2월에는 기관이 팔면서 수급 측면에서 매력이 떨어졌고, 그 이후에는 가격이 너무 오른 것이 걸림돌이 됐다. 대신 LG디스플레이, 우리투자증권, 삼성중공업, 하이닉스 등이 연초에 효자 노릇을 했다. 1월 코스피가 7% 오르는 동안 삼성중공업은 21% 넘게 급등했고 하이닉스도 12% 이상 상승한 것이다.

시장 일각에서는 삼성중공업의 올해 신규 수주가 최고 100억달러에서 최대 130억달러에 달해 안정적 수주량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월에는 삼성전기와 현대건설 그리고 3월에는 NHN과 삼성생명, 삼성테크윈 등이 펀드 성과에 기여하고 있는 중이다. NHN은 3월 들어 주가가 9% 넘게 오르고 있다. 연초 이후로 보면 26.3% 올랐다. 최훈 KB투자증권 연구원은 "장기 성장 모멘텀 요인이 주가에 선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60위권으로 여전히 투자 우선순위에서 밀려 있다. 하지만 하이자산운용 측은 "향후 기관 수급이 좋아지거나 주가가 빠지면 언제든 투자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정종현 하이자산운용 매니저는 "우리가 구성한 포트폴리오가 삼성전자는 물론 시장을 상회할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다"며 "그러나 삼성전자 이익전망치가 계속 오르고 있는 만큼 향후 편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를 여전히 좋게 보는 매니저들은 간접적으로나마 `삼성전자 효과`를 보려 애쓰는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국내 주식형 공모펀드는 포트폴리오에 한 종목을 10%까지 담을 수 있어 삼성전자 편입이 제한된다.

삼성전자 시가총액 비중이 있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3월의 경우 15.85%까지 채울 수 있지만 삼성전자를 대신할 종목을 찾기란 쉽지 않다.

그래서 매니저들이 대안으로 주목한 것이 삼성전자 우선주다. 통상 의결권 프리미엄이 있는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높은 주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주가 괴리율이 생기는데 결국 주식 자체의 가치가 올라가는 것이라 우선주도 금방 따라가게 된다. 다른 대안은 삼성생명이나 삼성물산을 사는 것이다.

실제로 삼성생명은 2월 말부터, 삼성물산은 이달 중순부터 기관 순매수가 크게 늘었다.

[이유섭 기자]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또 다시 00녀가 등장했다.
세상에는 많은 사람이 존재하고 그 중에는 인격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이 있다.
어느 사회, 어느 문화권에나 이런 사람들은 소수 존재하고, 따라서
이 기사 속 택시 기사와 백화점 판매사원처럼 횡액을 당하는 사람들도 항상 있다.

문제는, 언제부턴가 우리 사회 속에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비상식적인 태도에 대해 무조건적인 수용의 태도를 보이는 걸 당연시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고객이니까.' '손님은 왕이니까.'
상대가 친절하고 그렇지 않고를 떠나서 고객들은 자신이 돈을 지불하고 사는
서비스 이상의 '왕같은 대접'을 기대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의 인권과 감정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
서비스 제공자의 인격이 보호되는 분위기의 사회였다면
이 기사분은 해당 여성이 험하게 입을 뗀 직후 차를 세우고
내릴 것을 요구했어야 한다.
하지만 그는 그러지 못했다.
불친절한 택시 기사가 많다는 불평이 많다고 해도
그들도 다시 볼 가능성이 별로 없는 고객들에조차 꼼짝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아파트 환풍기가 고장나 as를 신청한 적이 있었다.
유쾌한 성격의 기사가 친절하게 봐 주었는데 며칠 후 새 환풍기를 들고 와
교환을 해주겠다 했다. 그런데 약속한 날짜가 한참 지나도
연락이 없었다.
따로 연락할 방법이 없어,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어 '언제쯤 다시 오실건지만
물어봐 달라'고 했다.
나는 궁금한 것을 물어봤을 뿐인데 상담원은 쉴 새 없이 미안하다고 했고,
바로 다음날 전에 봤던 그 기사가 새 환풍기를 들고 왔다.
그런데 이번엔 예의 그 친절을 찾아볼 수 없었다. 굳은 얼굴로 예의를 갖추고
있었지만 그가 뭔가 마음이 상했다는 걸 알 수 있었고, 나는 그가 일을 하는 동안
마음이 불편했다.
알고보니, 고객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회사에서 불이익을
당한 것이었다.
내가 원한 것은 불이익이 두려워 마지못해 이를 악물고 하는 서비스가 아니었다.
첫날, 그저 한 사람의 이웃으로서 웃으며 말을 건네던 그 사람이 그리웠다.

서비스 종사자들도 사람이다.
이제 그들도 비상식적인 상황에서는 단호하게 'no'라고 말할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김군이 챙겨다준 한재 미나리.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완전 유명하더만..ㅋㅋ

 

 이게 바로 한재 미나리!!!

득템한 기념으로 미나리 버섯 매운탕 시작!!

미나리는 흐르는 물에 씻어서 잠시 담궈두고,

기다리는동안 양념장만들고,

두부 썰고,

버섯이랑 양파 다듬고,

고기꺼내고.....

나름 바빴음.ㅋ

상위에 예쁘게 세팅하고,

로버트 파커씨가 칭찬했다고 해서 산 와인과 함께 먹을 준비 완료!!!

버섯 먼저 넣고

미나리 넣고

양파 넣고

마지막으로 미국산 소고기 넣고......

맛있게 냠냠!!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
KB국민카드(www.kbcard.com/ 사장 최기의)는 출범 1주년 기념 상품으로 서비스 종류,
할인율, 할인한도 등 혜택을 고객 스스로 선택해 한 장의 카드에 담을 수 있는 맞춤형
원카드 상품인 `KB국민 혜담카드』`를 28일 출시합니다.



이 카드는 기본 제공되는
실속형 생활서비스와 고객의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12가지 라이프스타일서비스
를 조합해 한 장의 카드로 고객의 취향에 따라 혜택을 최적화 할 수 있고, 라이프스타
일 변화에 따라 기존에 선택했던 서비스를 빼고 다른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이 다양한 혜택을 받기 위해 더 이상 여러 장의 카
드를 발급 받을 필요가 없어, 카드사는 카드 발급량의 획기적 감축과 함께 발급 관련
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카드사의 영업 관행에 일대 변혁을 불러
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본 제공되는 실속형 생활서비스는 △대중교통 △통신요
금 △생활상점 △세금/공과금 등 4개영역에서 이 카드로 이용시 전월 일시불 및 할부
이용금액에 따라 5 ~ 10% 할인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이 선택할 수 있는 라이
프스타일서비스는 △주유 △병원/약국 △뷰티/헬스 △여행 △자동차 △쇼핑 △음식/주
점 △교육 △APT관리비 △스타일푸드 △공연/영화 △마일리지 적립 등 12개 영역에서
이 카드로 이용시 전월 일시불 및 할부 이용금액에 따라 5 ~ 30% 할인 서비스를 제공
합니다.



서비스 영역과 할인율, 할인한도 등은 고객이 서비스 영역과 혜택 구간
을 선택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회비는 추가 됩니다. 이 카드의 연회
비(골드 기준)는 상품연회비가 국내전용 5천원, 해외겸용(마스타) 1만원이며, 서비스
영역과 혜택구간에 따라 5천원 ~ 6만원까지 맞춤연회비가 부과됩니다.



KB국민카
드 관계자는“출범 1주년을 맞아 선보인 이 카드는 고객이 주체가 되어 고객의 생활패
턴과 취향에 따라 최적화된 혜택을 한 장의 카드에 담을 수 있도록 고안된 상품으로,
고객의 합리적인 카드이용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최진
욱기자 jwchoi@wowtv.co.kr

Posted by 밝게빛나는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