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떨어지는 칼날을 잡지 말라.' '공포를 사라, 위기는 곧 기회다. ' 도대체 어떤 말이 맞는 걸까? 주식시장에는 늘 상반된 격언이 난무한다. 미국 유럽발 재정위기로 단기에 주가가 급락하자 지금이 과연 과감하게 주식을 사야 할 때인지, 아니면 갖고 있는 주식도 팔아야 할 때인지 잘 판단이 서지 않는다. 사실 위의 격언들은 모두 맞기도 하지만 동시에 모두 틀린 말이기도 하다. 매수와 매도 시점을 언제로 잡느냐에 따라 결과는 아주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은 내가 정말 주식을 제때 사고 팔았는지는 시간이 한참 지난 뒤에야 밝혀진다는 것이다.
요즘
개인투자자들 중에는 최근 시장 상황을 돈 벌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는 사람이 더 많은 것 같다. 주식활동
계좌 수가 하루 평균 1만개 가까이 늘어나면서 총 1800만개를 넘어 연일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곧 2000만개도 넘어설 기세라고 한다. 심지어 마이너스대출 카드론 현금서비스 등 빚을 내서 주식을 사는 사람도 적지 않은
모양이다. 시중은행의 8월 중 신용대출 증가율이 올 들어 최고치를 기록하고 일부 카드사의 경우 카드론이 한 주 전에 비해 150% 안팎까지 늘었다고 한다. 증권사에서 돈을 꿔 주식을 사는 신용융자 잔액도 이달 중순부터 다시 증가추세다. 이달 들어 지난주까지 개인이 사들인 주식은 2조7000억원에 육박한다. 외국인과 기관이 내던진 주식을 개인이 온 몸으로 떠 안은 셈이다.
이런 수치는 요즘 주변에서 '지금 주식 사면 무조건 먹는다'는 말이 종종 들리는 것과 무관치 않다. 그럼 정말 지금 주식 사면 돈 벌 수 있을까? 물론 그건 아무도 모른다. 다만 과거 비슷했던 때 시장이 어떻게 움직였는지는 한 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일각에서는 최근
개인투자자들이 집중적으로 주식을 사는 이유가 소위 '학습 효과' 때문이라고 말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 급락했던 주가가 이후 급등해 코스피지수가 2000포인트를 넘겼던 것이 바로 지금 개미들을 주식시장으로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럼 과거를 살펴보자. 2008년 9월 리먼브러더스가 파산하기 전 코스피지수의 직전 고점은 그해 5월16일 기록한 1888.88포인트였다. 이후 주가는 2008년 10월27일 938.75포인트까지 빠졌다. 5개월간 지수가 정확히 반토막 났다. 주가가 다시 위기 전 고점 1888.88포인트를 넘어선 것은 2010년 10월이다. 저점부터는 만 2년이 걸린 셈이다. 외환위기 때는 어땠을까. 위기 전 1997년 6월 주가는 800대 목전까지 올랐지만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1998년 6월에는 280포인트까지 빠진다. 1년 사이 65%가 하락한 것이다. 이후 코스피지수가 800대를
구경한 건 1999년 6월로 저점 대비 만 1년이 지나서다.
지금은 어떤가. 지난 5월2일 2228.96포인트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코스피지수는 지난 22일 1710.70포인트로 올 들어 최저치를 기록했다. 석 달여 간 하락률은 23%다. 현 시점의 주가 하락률은 과거 두 번의 큰 경제위기와 비교하면 고점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친다. 하락한 기간 역시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주식시장에서 역사는 항상 반복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참고할 필요는 있다. 주가는 어제 모처럼 시원스레 반등했다. 그제 장마감 직전 주식을 산 사람은 어제 돈 좀 벌었을 게다. 하지만 그런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있을까.
김선태 논설위원
kst@hankyung.com